1. 은행에서 와이어트랜스퍼로 보내는 방법
PNC 은행은 얼마를 보내든 수수료가 45불 붙어요.
오늘 환율은 1불에 1234원인데 이 환율로 가는 지 좀더 알아보려구요. 수수료가 쎄서 작은 금액을 보낼때는 불리한 듯요.
송금되는데에는 24시간 걸린다고 하네요. 대체로 4000불 이상보내면 이 방법이나 다른 방법이나 비슷하다고 하구요 한국에 달러로 돈을 입금할 수 있는 달러 통장을 만들어 놓고 송금하면 여러면에서 유리하다고 하구요.
이제 인 퍼슨 은행업무를 시작해서 직접 찾아가서 송금하면 되는데 미리 예약을 하고 가야하더라구요.
인터넷에서 오픈이길래 무조건 갔더니 직원들은 있는데 문은 걸어놓고 예약 손님만 받았어요. 마스크 써야하구요. 좀 기다려서 볼일을 보긴 했네요.
2. 페이팔 이용하는 방법
수수료가 4.99 붙거나 없거나 합니다.
그러나 환율은 오늘 1불에 1204원 으로 안 좋아요.
소량 보낸다면 큰 상관은 없겠지요.
페이팔로 연결된 것은 xoom 이예요.
주의할 점은 페이팔의 결제를 은행으로 연결해야해요.
크레딧카드로 하면 수수료가 20불로 비싸지구요, 은행에 따라캐쉬 어드밴스의 경우에 해당되므로 높은 이율을 지불해야할지도 모른다는 말이 써져있었어요. 캐쉬어드밴스는 이자율 엄청 높으니 피해야지요.
받는 사람 정보는 은행 정보와 이름, 주소, 핸펀번호 입력하면 확인 절차없이 바로 입금되어요. 아주 빨리 입금됩니다.
평소 페이팔 사용한다면 쉽게 가장 빨리 송금되는 방법이네요.
3. wirebarley 앱 이용
한국 호주 미국간 송금하는데 주로 많이 이용하는 앱인데요, plaid로 연동되어 은행계좌를 연결합니다. (벤모도 plaid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은행에서 컨피덴셜 승인이 안 나는 경우가 제법 생깁니다.
저도 그런 문제가 생겨서 와이어 바알리의 커스터너서비스에 전화하여 문의해 보았는데요, PNC 은행은 이런 문제가 자주 생긴다고 하네요.
그럴 경우는 체이스나 다른 메이저 뱅크로 계좌 하나 만들어서 이용하면 문제 없이 송금 된다고 그렇게 하라고 권하네요.
여기 환율은 1불에 1227원으로 페이팔보다 훨씬 좋아요.
수수료도 1000불 이상은 없고 그 이하는 $2.99 입니다.
받는 사람을 인증하는 과정이 다소 복잡한데요, 여기서 인포 넣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돈을 아주 소량 보내서 계좌 확인을 하고 실명 확인을 위하여 아이디를 업로드해서 은행에 보내는 등의 과정을 수신자가 거쳐야합니다. 따라서 이런 인증이 어려운 노인분에게 보내기는 어렵지요.
또 인증 과정이 끝나야 돈이 이송되므로 시간이 좀 더 걸립니다. 인증만 끝나면 전송은 바로 잘 되는듯요.
업데이트~
몇주 지나서 혹시나 하고 해보았더니 PNC 뱅크의 제 체킹어카운트로 연결이 되어서 송금을 했어요.
그런데 페일리어 노티스가 팝업창으로 떴길래 안 된건가 싶어 다시 한번 몇십분 후에 시도 했고 똑 같은 일이 벌어졌어요.
그런데 한국에서 인증하라고 한다고 돈이 전송된거 같은 일이 벌어졌고 결국 두번 전송되어버렸어요.
삼일 안에 제 PNC 뱅크 어카운트에서도 돈이 나갔구요.
한국말 서비스가 있어서 문의했더니 캔슬은 안된다고 하네요.
그리고 PNC 뱅크가 거의 거래가 안된다고하면서 이번에 전송된거는 잘 된거고 다음엔 다른 은행 이용하라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만약 PNC 뱅크에서 돈이 안 빠져나가면 한국에는 이미 입금되었기 때문에 내가 와이어베어리로 제가 돈을 보내줘야한다고 하더라구요.
페일리어 메세지가 왔는데 전송은 일어나고....뭔가 아직 시스템에 문제가 있어보이는데 앞으로 별일 없길요.
큰 돈 보내고 이런 문제 생기면 제 어카운트 펑크나고 문제인데 이번엔 그 정도는 아니라서 넘어갔어요.
소량 송금할 때 이용하시길...
오랜만에 서치하다가 이글 발견하고 이런 일이 있었구나 하고 놀래고 있어요. 지금은 잘 사용 하고 있어요. 요즘 환율 좋아서 잘 보내고 있고요. 25년 6월의 업데이트 입니다. 5년전 일을 이렇게 잊다니.
안녕하세요
답글삭제혹시 PNC계좌에서 한국 계좌로 돈을 보내면,퍼센테이지로 수수료를 내는게 아니라, 금액에 상관없이 45달러 인가요?
아래 내용을 인터넷에서 봤는데 Self-Service Outgoing 와 Self-Service International Money Transfer이 5달러라고 되어 있는데, 아닌걸까요?
International Wires
Agent-Assisted Outgoing ............................................. $50.00 each
Self-Service Outgoing – Sent in US Dollars (USD).................... $40.00 each
Self-Service Outgoing – Sent in Foreign Currency (FX)............... $5.00 each
Agent Assisted International Money Transfer........................... $10.00 each
Self-Service International Money Transfer.......................... $5.00 each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삭제오래전 일이라 잘 기억은 안나지만 일단은 일시불 45불 차지가 있고 또 금액에 따라 수수료가 붙는것이 아닐까 합니다. 저는 지금 와이어밸리로 잘 송금하고 있습니다. 환율이 인터넷에서 나오는 것보다 안 좋지만 수수료가 없으니까 잘 이용합니다. 셋업이 어렵지 일단 셋업되면 송금은 잘 되고 쉬워요.
삭제미국에서 달러를 들고가서 남대문의 환전상에서 바꾸면 환율은 제일 좋다고 들었어요 액수가 많으면 그렇게 하면 많이 차이가 난다고요.
저는 소액을 갖고 갈 뿐이고 한국에서는 수수료 없는 카드로 결재햇 원화로 결재해달라고 하는데 그것이 번거롭지 않아 그렇게 합니다.
다른 방법은 잘 모르겠고 특히나 한국에서 미국으로 올 때 어찌하는지는 잘 모릅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궁금한게
답글삭제PNC는 최소 계좌에 얼마 이상(백달러인가) 유지 해야하지 않으면 monthly service fee를 5$인가 내야한다는 말을 인터넷에서 봤거든요,
그런데 제가 아주 오래전에 미국에서 PNC 계좌를 만들고, 3.89$만 계좌에 남겨 논채로 그후 최소 7년 이상 쓰지 않았는데,
혹시 그럼 지금 다시 사용하고 싶으면 7년치의 service fee를 내야 할까요? reddit에 보니 자기도 돈 100달러 이하로 넣고 안쓰는데 따로 charge되는거 없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헷갈리네요ㅠㅠ
이메일로 매달 100$ threshold 이하 금액이라고 연락 오는거 보니 계좌가 닫힌것 같진 않고, 그리고 만약 monthly service fee를 내야한다면 이미 그 3.89$도 가져 가지 않았을까요? 출금되지 않은거 보니 수수료 따로 안내도 되나 싶기도 하고... 혹시 아신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글세요. 제가 경험한 일이 아니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지금 잔액을 알고 싶으시면 인터넷 온라인으로 들어가면 잔액 확인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삭제